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갈치낚시 시즌별 방법 (봄~여름, 가을 피크시즌, 겨울 심해 공략)

by suneeee 2025. 7. 6.

갈치낚시는 계절별로 낚시 방식과 공략 전략이 뚜렷하게 달라지는 고감도 낚시 장르이다. 반짝이는 은빛 외형과 강렬한 입질, 날카로운 이빨로 유명한 갈치는 낚시인의 손맛 욕구를 만족시키는 대표적인 바다 어종으로, 국내 전 해역에서 일정한 계절 주기를 따라 회유하며 다양한 포인트에서 출현한다. 특히 여름에서 가을로 이어지는 시기에는 남해와 제주 해역을 중심으로 선상낚시가 활기를 띠며, 그 외의 시기에도 심해 갈치낚시가 일부 지역에서 성황리에 이뤄진다. 갈치는 기본적으로 야행성 어종이지만, 계절에 따라 유영 수심, 먹이활동 시간, 활성도, 무리 크기 등이 달라지므로 시즌별 전략적 접근이 필수적이다. 본문에서는 봄·여름 시즌의 특성과 장비 조정법, 가을 피크 시즌의 입질 집중 공략법, 겨울철 심해 낚시 대응 전략까지 갈치낚시의 계절별 특성을 중심으로 낚시 방식, 채비 구성, 실전 대응법을 단계별로 상세히 정리하였다.

낚시 하는 사진

봄~여름 갈치낚시 공략법과 장비 세팅

봄과 여름철 갈치낚시는 주로 제주 남쪽 해역과 남해 동부 연안, 일부 서해 연안에서 이루어진다. 이 시기의 갈치는 수온 상승에 따라 점차 북상하며 얕은 수심대에 접근하기 시작하고, 비교적 소형 갈치(3지 이하)가 주 어종으로 잡힌다. 야간 낚시가 기본이지만 해가 막 떨어지는 땅거미 무렵부터 입질이 시작되며, 밤 10시~새벽 2시 사이가 가장 활성이 높은 시간대로 알려져 있다. 이 시기 갈치는 불빛에 강하게 반응하므로, 집어등이 강력한 선상 또는 선단 낚시터를 선택하는 것이 유리하다. 장비는 비교적 라이트 한 구성이 적합하며, 전동릴을 사용하는 경우 1.5호~2호 정도의 합사 라인, 낚싯대는 30호~50호 로드로 충분하다. 목줄은 4호 내외, 바늘은 10호 안팎의 트리플 훅 또는 핀도래 채비를 사용하며, 바늘 수는 5~7개가 적절하다. 미끼는 꽁치살, 정어리살, 오징어살 등이 사용되며, 소형일수록 길이보다는 냄새와 유동성 있는 세팅이 중요하다. 갈치는 순간적인 미끼 움직임에 반응하기 때문에, 채비는 바닥층에서 수심 10~30m 내외를 중심으로 천천히 위아래로 흔드는 '리프트 앤 폴' 방식이나 일정 속도로 감아올리는 '슬로 릴링'이 효과적이다. 이 시기의 갈치는 입질이 빠르면서도 크지 않기 때문에, 로드 끝 움직임을 집중적으로 관찰하고, 텐션을 잃지 않는 훅셋이 중요하다. 봄~여름에는 비교적 체력 소모가 적고 낚시 난도가 낮은 편이기 때문에 입문자들이 갈치낚시에 입문하기에 적합한 시즌으로 평가된다.

가을 피크시즌

가을은 갈치낚시의 절정기이며, 전남 여수, 고흥, 완도, 제주, 통영 등 남해와 제주 일대에서 본격적인 대갈치 낚시가 성행하는 시기다. 특히 9월~11월 사이에는 수온이 갈치의 활성을 최고로 끌어올리며, 4지~5지 이상의 대형 개체들이 연안에서 10~50m 내외 수심대로 활발히 회유한다. 이 시기의 갈치는 군집성이 강해 한 번의 집어로 대량 조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루어와 생미끼 모두에 강한 반응을 보인다. 선상낚시가 주류를 이루며, 일부 지역에서는 야영용 좌대나 바다 루어전용 포인트에서도 가을철 대갈치가 자주 목격된다. 장비 구성은 고급형 전동릴과 50호 이상의 로드를 중심으로 준비하며, 합사는 최소 2호 이상, 목줄은 5~6호 이상의 강한 내구성을 요구한다. 바늘은 대형 트리플 훅 세팅이 유리하며, 7~10단 구성의 고부력 채비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갈치는 빛에 민감하게 반응하므로, 이 시기에는 블루 LED 또는 화이트 LED 집어등의 조도가 조과를 결정짓는다. 미끼로는 꽁치살, 정어리, 민어내장, 오징어 다리 등을 사용하며, 일부 선단에서는 미끼에 향미제를 첨가하여 반응을 극대화하기도 한다. 가을철 갈치는 입질이 굉장히 강하고, 훅셋 직후 깊은 수심대로 쏟아지는 듯한 저항을 보인다. 이 시기의 입질은 ‘무는’ 것이 아닌 ‘물고 달리는’ 패턴이기 때문에, 채비 세팅 후 릴링 중에 순간적인 저항이 느껴지면 바로 로드를 세워 훅셋을 넣어야 한다. 선상에서는 수십 명이 동시에 낚시를 하기 때문에 라인 엉킴이나 채비 간섭이 자주 발생하므로, 빠르고 정확한 랜딩과 훅 제거, 재투척의 순환 사이클을 짧게 가져가는 것이 조과 향상의 핵심이다. 가을 시즌은 조과가 압도적으로 좋고 갈치의 크기도 크기 때문에, 장비 관리와 체력 분배, 빠른 상황 판단력까지 함께 요구되는 고난도 실전 시즌이다.

겨울 심해 공략

겨울철 갈치낚시는 일반적인 시즌과는 다른 전개를 보인다. 기온이 급격히 낮아지고 수온이 하강함에 따라, 갈치는 연안이나 표층에서 벗어나 깊은 수심대, 즉 100m 이상 깊이의 심해로 이동한다. 이 시기의 갈치는 주로 대형 개체 위주로 구성되며, 수심 100~150m 전후에서 느린 회유를 반복한다. 갈치가 집어 되는 데에도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출조 시간과 집어 전략이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낚시 방식은 전동릴 기반의 심해 갈치 전용 장비가 요구되며, 합사 라인은 2.5호 이상, 목줄은 7호 이상, 바늘은 특대형 트리플 훅을 사용하며 10단 이상 채비가 기본 세팅으로 사용된다. 봉돌은 100호 이상을 기본으로 사용하며, 조류가 센 날에는 150호 이상의 무게가 요구될 수 있다. 미끼는 정어리살, 꽁치살 외에도 장시간 보관 가능한 냉동 참치살, 민어 내장 등을 사용하고, 냉동 미끼의 경우 손질이 중요하므로 사전에 컷팅 작업을 해두는 것이 좋다. 겨울철에는 밤이 길기 때문에 장시간 체류가 일반적이며, 손가락 마비, 얼음 낀 릴, 미끄러움 등 환경적 요소에 대한 준비도 병행되어야 한다. 입질은 일반 시즌보다 훨씬 미세하고 간헐적으로 나타나므로, 전동릴의 감도 설정과 로드 팁의 감각을 극대화하는 것이 필수다. 갈치가 바늘을 물고도 움직임이 없을 수 있으므로, 일정 시간마다 릴을 천천히 감으며 '정중층 훑기'를 하는 방식으로 입질 유무를 체크한다. 랜딩은 반드시 뜰채를 사용하고, 겨울철 낮은 기온에서는 갈치의 비늘이 손상되기 쉬우므로 장갑 착용은 필수다. 갈치의 생존율이 낮아 대부분 횟감이나 조리용으로 바로 처리되므로, 즉시 내장을 제거하고 아이스박스에 보관하는 방식이 조과의 신선도를 결정짓는다. 겨울철 심해 갈치낚시는 하드 한 장비와 체력, 경험이 요구되지만 그만큼 대물 조과의 확률이 높고, 농후한 손맛을 기대할 수 있는 시즌이다.

갈치낚시는 계절에 따라 전혀 다른 전략과 대응법이 필요한 낚시 장르다. 봄~여름에는 입문자에게 적합한 라이트 낚시로, 가을에는 대물과 실전 테크닉이 필요한 고난도 낚시로, 겨울에는 장비와 경험이 요구되는 심해 탐색형 낚시로 전환된다. 각 시즌의 특성을 충분히 이해하고, 날씨·수심·포인트 조건을 세밀하게 분석하여 접근한다면 누구든 갈치낚시의 깊이 있는 재미와 만족을 경험할 수 있다. 이번 글이 출조 계획 수립과 실전 대응에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갈치 시즌마다 변화하는 전략을 바탕으로 보다 풍성한 조과와 안전한 낚시를 즐기길 바란다.